본문 바로가기
IT 이슈

디지털 격차 해소, 정부가 실패한 이유

by 바이JUN 2025. 4. 18.

디지털 일상화가 가속화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조차 어려운 시민들이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대부분의 행정서비스는 모바일 앱을 통해서만 제공되죠. "디지털 사회에서 나는 소외되고 있지 않은가?"라는 의문을 가진 적 있으신가요? **디지털 격차 해소**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책임입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3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일반 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75.3%에 그쳤습니다. 정부가 수년간 ‘디지털 포용사회’를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체감 개선은 부족할까요? 이번 글을 통해 정부가 **디지털 격차 해소**에 실패한 근본 이유와 개선 방향을 탐색해보겠습니다.

디지털 포용 정책과 현실의 간극

정부는 2020년부터 디지털 포용 정책을 추진해왔지만,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특히 **디지털 격차 해소**의 핵심 당사자인 고령층·장애인·저소득층은 여전히 정보 접근이나 활용에 있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 2023년 디지털 정보화 수준지수: 전체 국민 100 대비 장애인 65.1, 고령층 61.2 (출처: 과기정통부, 2023.12)
  • ✅ 정책성 예산은 존재하나 실질적 성과 지표 부재

2023 디지털 포용 종합계획 자료 보기

 

내가 발견한 ‘걷기 좋은 명품숲길’은 어디?

내가 발견한 ‘걷기 좋은 명품숲길’은 어디?- 국토녹화 50주년 기념 ‘걷기 좋은 명품숲길 경진대회(2차)’ 개최 산림청(청장 남성현)에서는 국토녹화 50주년을 기념하여 4월 - 정책브리핑 | 브리

www.korea.kr

디지털 기기·접속 환경의 불평등

**디지털 격차 해소**의 선결 과제는 인프라 평등 확보입니다. 그러나 경제적 조건에 따른 기기 소유 여부, 통신비 지출 능력 등에서 격차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특히 지방 농촌지역일수록 초고속 인터넷 접속률과 스마트폰 보유율이 낮습니다.

구분 스마트폰 보유율 가정 내 인터넷 가능률
전국 평균 92.3% 96.1%
고령층 71.4% 80.5%

출처: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과기정통부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3.12

디지털 교육 접근성의 한계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 기반은 여전히 부족합니다. 대부분의 교육 프로그램은 일회성이고, 지방 소외지역에 대한 인프라 지원도 한정적입니다.

  • ✅ 시니어 디지털 배움터 프로그램의 실제 참여율 21.3% 불과
  • ✅ 일대일 밀착 교육 아닌 워크숍 형식 위주
  • ✅ 교육 종료 후 활용 방안과 연계 부족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보고서 참고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bcIdx=27625&cbIdx=65914&parentSeq=27625

 

www.nia.or.kr

민간 협력 부재와 지역 편중 문제

정부 주도의 일방향 정책은 지역 중심 격차를 심화시켰습니다. 대기업·통신사·지자체 등 민간 파트너십의 실질적 작동이 부족해, 혜택이 서울과 일부 광역시에만 집중되는 구조가 형성됐습니다.

  • ✅ 광역시 배움터 인프라 보급률: 87%
  • ✅ 군 단위 배움터 운영률: 22% (출처: 행정안전부, 2023.11)

행안부 지역 디지털 포용 정책 페이지 확인

디지털 서비스 설계의 비문해 구조

정책 대부분은 '모바일 앱을 써야 하는' 조건을 전제로 합니다. 그러나 고령층·장애인을 위한 UX 설계는 미비하며, 텍스트 중심 서비스가 대다수인 것도 문제입니다. 이는 **디지털 격차 해소**를 오히려 가로막는 설계적 장애입니다.

  • ✅ 주요 공공앱 접근성 미흡률: 31.1% (국가정보자원관리원, 2023.10)
  • ✅ AI 챗봇/음성 서비스 연계율 12% 이하 (2023 국정 감사자료)

공공 웹 접근성 보고서 원문 보기

결론

디지털이 일상이 된 지금, 포용의 조건도 달라져야 합니다. 단순한 기기 보급이나 단기 교육만으로는 **디지털 격차 해소**가 불가능합니다. 정부는 실제 이용자 관점에서 정책을 설계하고, 민간과 지역 커뮤니티 중심의 연계를 강화해야 할 시점입니다. 지금부터라도 디지털 소외층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요구해야 하지 않을까요?

✔️ 디지털 격차 해소를 더 이상 미룰 수 없습니다. 시민의 관심과 정교한 정책 설계가 함께 할 때, 비로소 모두가 연결된 포용 사회가 완성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 ❓ 디지털 격차 해소가 왜 중요한가요?
    단순한 기술 차이가 아니라, 의료·금융·교육 등 생존권과 직결되는 사회적 권리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 🔍 고령자를 위한 국가 디지털 교육은 어떤 게 있나요?
    ‘시니어 디지털 배움터’, ‘디지털 배달강사’와 같은 공공 프로그램이 있으나 접근성과 맞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 💡 디지털 격차는 지역 간의 차이도 있나요?
    네, 수도권과 농어촌 간 정보 접근 인프라와 참여 기회 차이가 큽니다.
  • ✅ 민간 기업은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하나요?
    일부 대기업은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지만 정책 연계가 약해 지속성과 체감도 측면에서 한계가 있습니다.